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가대표 올림픽 메달 포상금과 연금 금액

by 꿀정보조아 2021. 8. 1.

도쿄 올림픽에서 필리핀 역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하였습니다. 금메달의 주인공은 역도 55kg급 A그룹의 하이 달린 디아스입니다. 디아스는 필리핀 정부와 몇몇의 기업에게 3300만 페소 우리 돈으로 약 7억 원 이상의 포상금과 집을 약속받았습니다. 이처럼 올림픽에서 국위를 선양하는 메달리스트들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혜택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포상금과 연금, 병역특례가 대표적입니다. 포상금의 금액과 연금의 상한선, 병역특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쿄 올림픽 메달리스트 포상금 금액

메달을 획득한 선수에게 일정의 포상금이 주어집니다. 포상금의 액수는 올림픽마다 상이하며 이번 2020 도쿄 올림픽의 포상금은 금메달 6300만 원, 은메달 3500만 원, 동메달 2500만 원입니다.

 

단체전의 경우 모든 선수들의 개인전 포상금 금액의 75%를 지급받습니다. 단체전 금메달 4725만 원, 은메달 2625만 원, 동메달 1875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우리나라 올림픽 메달리스트 중 누적 최고 포상금을 받은 선수는 사격의 진종오 선수입니다. 2004 아테네 은메달, 2008 베이징, 2012 런던, 2016 리우에서 금메달 3개로 올림픽 일시장려금을 약 4억 정도 받았습니다.

 

메달리스트 연금 금액

대한체육회에서는 국제경기대회에서 국위를 선양한 선수에게 경기력 향상 연금을 지급합니다.

 

지급대상은 올림픽, 아시아경기대회, 세계선수권대회 등 국제적인 대회에서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해당됩니다.

 

연금의 지급 금액은 평가점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올림픽 금메달의 경우 90점, 은메달 70점, 동메달 40점의 평가점수를 받습니다. 점수를 모아서 110점이 되면 월정금 연금의 상한액인 100만 원을 매달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110점을 채우지 않아도 100만 원을 매달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4위 5위 6위
올림픽대회 90 70 40 8 4 2
세계선수권대회 4년 주기 45 12 7 - - -
2~3년주기 30 7 5 - - -
1년주기 20 5 2 - - -
세계대학생경기대회/아시아경기대회/세계군인체육대회 10 2 1 - - -

 

연금 지급 기준

평가 점수 20점 이상부터 연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월정금

연금점수에 영향을 주는 국제대회가 끝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선수가 사망하는 달까지 매월 20일에 일정 금액이 지금 됩니다.

월정금
점수 지급액
10 -
20 30만원
30 45만원
40 52만 5천원
50 60만원
60 67만 5천원
70 75만원
80 82만 5천원
90 90만원
100 97만 5천원
110 100만원
120 일시장려금 별도 지급

일시금

월정금을 선택하지 않은 선수에게 평가 점수 별로 지급되는 연급입니다. 지급액에 상한선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점수별로 아래와 같이 받습니다.

40점(동) - 39,200,000원

70점(은) - 56,000,000원

90점(금) - 67,200,000원

110점 - 78,400,000원

150점 - 100,800,000원

200점 - 128,800,000원

상한 점 없이 평가 점수대로 일시금 금액이 정해 집니다.

 

특별장려금

평가점수가 20점 미만으로 세계군인 체육대회 및 장애인 아시아경기대회, 아시아경기대회 등 금메달을 딴 선수에게 450만 원을 지급합니다.

 

특별장려금을 받은 선수가 20점이 초과되어 월정금 또는 일시금을 지급받을 시 450만 원을 공제 후 지급하게 됩니다.

 

메달리스트 병역 특례

메달리스트에게는 연금뿐만 아니라 군 복무 면제라는 병역특례가 있습니다. 올림픽 최소 동메달 이상, 아시안게임 금메달 이상 획득 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체 경기의 경우 한경기도 출전하지 않은 선수는 특례를 받지 못합니다. 경기 참여 시간에 관계없이 한 경기라도 참여하여 금메달에 기여해야만 병역 특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군면제는 아니고 예술 체육요원으로 체육분야 체육요원으로 의무기간을 수행하게 됩니다. 예술 체육요원은 훈련소에서 기초 군사 훈련을 이수한 뒤 체육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의무 복무 기간을 하는 요원입니다. 

 

체육요원들은 공익요원의 신분이지만 일반 공익과 달리 의무기간 중 본인의 체육 분야를 그만두고 다른 일을 하게 되면 현역병 입영통지서가 날아옵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그만 둘시 중학교 이상의 국, 공립기관, 체육단체 같은 곳에서 체육지도 분야에 종사하여 의무복무기간을 채워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