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차의 뜻과 발생 조건

by 꿀정보조아 2021. 7. 20.

휴가를 싫어하는 직장인은 없을 것입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혜택 중 하나가 연차 휴가입니다. 법으로 정한 혜택인 연차의 뜻과 발생 조건, 월차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차의 뜻

연차 또는 연차 휴가는 일종의 휴가의 개념으로 1년 동안 계속해서 근무한 직원에게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휴가입니다. 단, 4인 이하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경우 연차 유급휴가를 보장하는 규정은 없습니다. 이 점은 개인적으로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4인 이하의 사업장의 경우 사장의 재량에 따라 주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근로기준법 요건에 맞는 직원이 1년 이상 계속 출근 시 발생되는 유급휴가(년 15일)

 

연차의 발생 조건

근로기준법에 부합하는 근로자가 1년 이상 80% 이상의 출근율로 출근을 하면 15개의 유급휴가가 주어지게 됩니다. 3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에게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매 2년마다 1개씩의 유급휴가가 추가로 주어지게 되며, 최대 25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연차 유급휴가 근로수당은 1년 동안 미사용 된 연차를 수당으로 보상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차수당은 법적으로 강제 조항이 없어 회사 내규에 따라 보상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연차를 모두 소진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 연차수당은 1일 '통상임금 x 남은 연차일수'입니다.

 

연차와 월차의 차이점

근로기준법상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자에게 주어지는 15개의 유급휴가를 연차, 연가라고 합니다. 

 

1년 미만의 근로자는 1달 만근 시마다 1개씩의 유급휴가를 받게 되는데 이를 월차라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