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으로 인해 저소득층 국민들의 부담을 줄이고자 보건복지부에서 한시적인 긴급 생활지원금을 준다고 합니다. 한 번뿐이지만 가계가 어려운 저소득층 분들에게 단비 같은 소식인 것 같습니다. 이번 긴급 생활지원금은 총 약 227만 가구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하니 대상자이신 분들은 꼭 챙기실 바랍니다.
저소득층 한시 긴급 생활 지원금 대상자
기초생활수급자, 법으로 정해진 차상위 계층, 한부모 가정 등 이신 분들이 대상자입니다. 중위소득 50% 이하 이신 분들입니다.
중위소득 50%
- 1인 가구 972,406원
- 2인 가구 1,630,043 원
- 3인 가구 2,097,351 원
- 4인 가구 2,560,540 원
- 5인 가구 3,012,258 원
- 6인 가구 3,453,502 원
저소득층 한시 긴급 생활 지원금 지급 금액
지급 금액은 급여 종류, 가구 규모로 나누어집니다.
생계 및 의료 수급자
- 1인 가구 40만 원
- 2인 가구 65만 원
- 3인 가구 83만 원
- 4인 가구 100만 원
- 5인 가구 116만 원
- 6인 가구 131만 원
- 7인 가구 145만 원
보장 시설
- 1인 20만 원
주거, 교육, 차상위 한부모
- 1인 가구 30만 원
- 2인 가구 49만 원
- 3인 가구 62만 원
- 4인 가구 75만 원
- 5인 가구 87만 원
- 6인 가구 98만 원
- 7인 가구 109만 원
저소득층 한시 긴급 생활 지원금 지급 방법
지급방법은 대상자이신 분이 해당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셔서 카드를 직접 수령하시면 됩니다. 지급일은 6월 24일을 시작으로 지자체별로 다릅니다.
지자체별 지급일
6월 24일(금)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용인, 고양, 부천, 남양주, 파주, 광주, 광명, 이천, 포천, 양평, 여주, 과천
- 강원도 - 태백, 횡성, 영월
- 충청북도 - 청주, 제천, 음성
- 전라북도 - 부안군
- 전라남도 - 여수, 곡성, 화순, 장흥, 강진, 해남, 영광, 장성, 완도, 진도
- 경상북도 - 김천, 구미, 영천, 군위, 의성, 예천
- 경상남도 - 창원, 진주, 김해. 밀양, 거제, 양산, 함안, 창녕, 고성, 남해, 산청, 거창, 합천
6월 27일(월)
- 서울특별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경기도 - 수원, 성남, 화성, 평택, 의정부, 군포, 양주, 안성, 동두천, 가평
- 강원도 - 강릉, 동해, 속초, 삼척, 양구, 고성, 철원
- 충청북도 - 그 외
- 충청남도 - 천안, 공주, 아산
- 전라북도 - 그 외
- 전라남도 - 순천, 고흥, 무안, 함평, 신안
- 경상북도 -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칠곡, 울진
- 경상남도 - 통영, 사천, 의령, 하동, 함양
- 제주특별자치시
6월 28일(화)
- 충청남도 - 서산, 논산, 당진, 부여, 서천, 태안
- 전라남도 - 보성, 영암
- 경상북도 - 안동, 영주, 문경, 봉화
6월 29일(수)
- 광주광역시 - 동구, 남구, 북구, 광산구
- 경기도 - 안양
- 강원도 - 인제
- 경상북도 - 상주
6월 30일(목)
- 광주광역시 - 서구
- 경기도 - 안산, 시흥, 김포, 하남, 오산, 구리, 의왕, 연천
- 강원도 - 그 외
- 충청북도 - 증평
- 충청남도 - 보령, 계룡, 금산, 청양, 홍성, 예산
- 전라남도 - 목포, 나주, 광양, 담양, 구례
- 경상북도 - 포항, 경주, 경산, 울릉
저소득층 한시 긴급 생활 지원금 사용처
슈퍼마켓, 편의점, 주유소, 음식점, 미용실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곳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유흥업소 등 향락, 레저, 유흥 목적으로 사용되는 곳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지역화폐로 받는 지역에서는 지역화폐 활용이 가능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선불카드로 받은 지역은 지역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용기한은 22년 12월 31일까지 소진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