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주택비 부담이 많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1인 가구 청년들의 부담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청년 월세 지원 정책을 마련하였습니다. 소득은 적은데 월세로 생활을 하는 청년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조건에 부합하는 대상 청년분들이 많이 혜택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신청방법
월세 지원을 1순위로 받기 위해서는 아래 대상자 조건과 제외자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대상 조건
- 신청기간 기준 서울에 거주하며 월세 지원을 신청하는 건물에 등본 주소지 등록되어 있는 분
- 만 19세~ 만 39세 1인 가구 청년
- 보증금 5천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입자
- 중위소득 150% 이하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하는 분들은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를 합친 금액이 70만 원을 안 넘기면 신청 가능합니다.(환산율 2.5%)
(보증금 x 전환율 / 12) + 월세 = 70만 원 이하
예) 보증금이 3,000만 원, 월세가 62만 인 경우 (3,000만 원 x 2.5% / 12) = 62500 + 62만 원 = 70만 원 이하이므로 신청 가능
지원 신청 제외자
- 일반 재산 1억 원 이상
- 주택, 분양권, 입주권 보유자
- 2,500만 원 이상의 차량 보유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 서울시 청년수당을 지급받고 있는 자
- 임대인(집주인)이 부모님인 경우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신청기간
2022년 6월 28일 10:00 ~ 7월 7일 18:00 (선착순이 아닙니다.)
신청 방법
서울 주거 포털(https://housing.seoul.go.kr/) 홈페이지에서 청년 월세 지원란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지원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청한 내용은 서울 주거 포털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 월세 지원 지급금액과 지급일
지급일
신청기간 내에 신청하신 분들의 소득 및 중복 수혜를 조사 후에 8월 초에 심사결과 통보 및 이의 신청을 접수받습니다.
모든 심사가 끝난 후에는 8월 말경에 최종 선정 발표를 하고 9월 말부터 지급이 시작됩니다.
지급 금액
월세 20만 원을 지원하며, 최대 10회, 200만 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월세 지원은 생애 1회만 가능합니다.
20만 원보다 월세가 적으면 임대차계약서에 표시된 월세액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 구간 기준
총 2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상황에 따라 3만 명까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2년 3월에서 5월까지의 건강보험료를 기준 구간별로 선정합니다. 구간별로 선정인원이 초과되면 랜덤 추첨으로 선정합니다. 구간별로 미달인 경우에는 추가로 선정합니다.
구간별 선정기준
- 1구간(9,000명) - 보증금 500만 원 이하, 월세 40만 원 이하 / 소득기준 120% 이하
- 2구간(6,000명) - 보증금 1,000만 원 이하, 월세 50만 원 이하 / 소득기준 120% 이하
- 3구간(3,000명) - 보증금 2,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소득기준 120% 이하
- 4구간(2,000명) -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소득기준 150% 이하
상대적으로 인원이 선정인원이 적은 4구간이 경쟁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되는 청년
- 월소득 약 2,445,000원 이하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82,112원 이하
- 지역 가입자 건강보험료 36,122원 이하
중위소득 150% 이하 해당되는 청년
- 월소득 약 2,917,000원 이하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102,842원 이하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77,067원 이하
위 금액은 21년 12월 보건복지부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대략적이 금액이므로 애매하신 분들은 그냥 신청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정보
댓글